요즈음 투자 하시는 분들 엄청 많으실거라 생각을 합니다. 투자의 가장 기본적인 목표는 역시나 재산 증식이라고 할 수가 있겠는데요. 중요한건 단순히 재산 증식이 아닌 자녀를 위한 증여의 목적으로 자녀 이름으로 투자 계좌를 개설해서 투자를 하시는 분들도 많다는 사실이죠.
그래서 말인데 반드시 알아두셔야 하는 한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주식 증여세라고 할 수가 있겠는데요. 주식 증여세 신고기한을 알지 못해서 혹시 모를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반드시 관련 내용 잘 숙지를 해두시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는군요.
주식 증여세 부과 기준 금액
그래서 우선 주식 증여세와 관련하여 가장 먼저 알아두셔야 하는 점 한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증에셔가 부과되는 기준이라고 이야기를 해야할까요? 간단하게 좀 알려드리자면요.
* 증여세 부과 기준
: 2천만원 초과분
중요한건 주식을 산 가격이 아니라 수익률까지 포함을 해서 계산을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1,500만원을 투자했는데 수익이 났고 그래서 2,100만원이 되었다면? 이는 주식 증여세를 부담해야 하는 기준을 넘어선 것이죠.
많은 분들이 나는 2,000만원이 안되는 금액이니까 나는 상관 없을거야 하고 나는 해당 사항이 없다며 주식 증여세에 아무런 관심을 보이지 않으신 분들이 있었는데요. 앞서서 말씀드린 것처럼 원금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수익률까지 포함이 된 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을 한다는 점 반드시 알아두셔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주식 증여세 신고기한
주식 증여세를 부담하셔야 하는 입장이라면 반드시 신고를 하고 납부를 하셔야만 하겠습니다. 만약 제때 신고하지 않고 납부를 하지 않는 경우 나중에 불이익을 당할 수도 있게 되죠. 굳이 불필요한 불이익을 감수해야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는데요. 그래서 신고가힌 간단하게 좀 알려드리자면요.
* 주식 증여세 신고기한은?
: 증여한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만약 1월 3일날 증여를 했다면 증여한 날이 속하는 달은 1월달이 되겠습니다. 그러니 1월달 말일인 31일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를 해야하니 날짜로 따지자면 4월 31일이 주식 증여세 신고기한이 되는 것이죠.
앞에서도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주식 증여세가 부과되는 기준도 모르고 있다가 혹은 알고 있어도 신고기한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가는 불필요한 불이익 당할 수 있으니 반드시 기억해두시고 납세의 의무 잘 이행을 하시는게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신고하는 곳
신고 대상이 된다면 이제 신고를 하셔야 하겠습니다. 그래서 말인데 신고를 하는 곳이 어디인지 간략하게 좀 알려드릴까 하는데요. 바로 홈택스를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세금 신고 해보신 분들이라면 다들 잘 아실거라 생각을 합니다. 바로 홈택스를 통해서 하시는 것이 가능하겠는데요. 단 한가지 기억을 하셔야 하는 부분이 있으니 증여를 하신 부모님 이름으로 신고를 하는 것이 아닌 증여를 받은 자녀의 이름으로 신고를 하셔야 한다는 사실 꼭 기억해두셔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는군요.
그래서 오늘은 주식 증여세 신고기한 및 기본적으로 알아두셔야 하는 내용에 관해서 정리해드리는 시간 가져보았는데요. 궁금증 해결이 좀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다음에는 증권거래세에 관한 좀 더 상세한 내용 전해드릴 것을 약속드리면서 오늘 이야기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들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