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을 보시는 분들의 공통점이라 한다면 아마도 노인복지시설을 운영하고 있으시거나 혹은 누군가가 운영하는 노인복지시설에서 일을 하시는 종사자 분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달리 표현을 하자면 노인복지법과 장기요양법에 의한 대상자가 되시는 분들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이 두가지의 경우에 해당하시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연간 1개 과정의 노인 인권 사이버 교육을 필수적으로 수료를 하셔야만 한다는 사실 아마 다들 잘 아시고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되는데요. 그래서 말인데 오늘은 노인 인권교육 수강사이트인 kohi를 둘러보고 어떻게 수강을 하는지 그 방법 살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노인 인권교육 수강사이트로 이동하기
다들 잘 아시겠지만 어디에 방문을 해서 오프라인으로 교육을 듣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이 되는 곳이라면 그 어디서건 교육을 들어보시는 것이 가능하겠습니다. 이말인 즉슨 집에서도 얼마든지 편안하게 수강을 해보실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겠는데요. 그래서 우선은 가장 먼저 하셔야 하는 것이 있으니 바로 kohi 사이버 교육 사이트로 이동을 하는 일이 되겠습니다.
홈페이지의 이름이 곧 주소라고 기억을 해두시면 되겠는데요. 아무튼 <in.kohi.or.kr> 주소의 입력 혹은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검색을 통해서 노인 인권교육 수강사이트로 이동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노인 인권 사이버 교육을 위한 첫번째 단계
앞서서 알려드린 방법대로 아마 다들 어렵지 않게 수강사이트로 이동을 하셨으리라 생각을 합니다. 이동을 하시게 되면 제가 앞서서 말씀을 드린 것처럼 교육 대상이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안내가 나와있는 것을 확인해보실 수가 있으실텐데요.
다시 한번 말씀을 드리자면 노인복지시설을 운영하시거나 그곳에서 일을 하고 있으신 종사자 분들이라면 반드시 연간 1개 과정 수료가 필수적이라는 사실 알아두시면 되겠는데요.
아무튼 노인인권교육 수강사이트에서 하나의 과정을 수료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하셔야 하는 것은 아이디를 생성하는 일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로그인을 하시고서 수강을 하셔야만 내가 교육을 들었다는 증명이 가능하기 때문인데요. 홈페이지 중간쯤 그리고 우측에 보시면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해보실 수가 있겠습니다.
기본적인 인터넷 활용이 가능하신 분들이라면 아이디 역시도 어렵지 않게 만들어보실 수 있지 않으실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아무튼 아이디를 만드는 곳으로 이동을 하셔서 여러분들이 해당하는 버튼을 선택해주신 다음 아이디 생성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노인 인권 사이버 교육 진행하기
아이디를 생성을 하셨다면 이제 생성한 아이드를 통해서 로그인부터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로그인을 해주시고 나면 비로소 인권교육을 수강하기 위한 기본적인 준비가 되었다고 할 수가 있겠는데요.
페이지 상단에 보시면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메뉴가 있는 것을 확인해보실 수가 있겠습니다. 해당 메뉴 위에 마우스를 올려두시게 되면 숨겨져있던 메뉴가 하단에 나오는 것을 확인해보실 수가 있겠는데요. 수강신청 하단에 있는 과정검색 및 신청이라는 메뉴로 이동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인권교육 수업들을 확인할 수 있는 검색 설정창이 나오게 되겠는데요. 각각의 항목에 대한 설정을 마무리하신 다음 교육을 검색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검색을 해주시고 나면 아래에서 보시는 것과 같은 형식을 통해서 강의를 확인해보실 수가 있게 되겠는데요.
목록을 보신 다음 여러분들이 수강을 하고자 하는 kohi 사이버 교육 목록 하나를 선택을 해주시게 되면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을 해보실 수가 있게 되니 수강 신청을 하시고 노인 인권 사이버 교육 진행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노인 인권교육 수강사이트를 통해서 필수적으로 이수를 해야만 하는 교육을 들을 수 있는 방법에 관해서 이야기 전해드리는 시간 가져보았는데요.
* 노인복지시설 운영자
* 종사자
다시 한번 말씀드리자면 위에 두가지에 해당하시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필수적으로 교육을 이수하셔야 한다는 사실 명심하시길 바라겠고 교육 듣는 방법을 잘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이라면 제가 전해드린 방법 천천히 보시고서 교육 수료해주시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감사합니다.